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주거형태의 뜻과 종류

by 킴앤 2022. 5. 24.
반응형
728x170

한국의 주거형태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단독주택, 원룸, 오피스텔, 빌라, 아파트 등이 있죠. 하지만 이게 빌라고 저게 아파트라는 것을 알면서도 뭘 기준으로 다른 건지, 오피스텔이나 원룸은 구어적 표현이 아니었던 건지 종종 헷갈립니다. 이번에는 한국의 주거형태별 뜻과 종류에 대해 정리합니다.

주거형태의 뜻과 종류

단독주택

1. 단독주택

엄밀히 말해 건물의 집주인이 한 명인 경우가 단독주택이지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단독주택은 단독택지에 단일가구를 위해서 건축하는 형태의 주택입니다. 건축법상 면적제한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2. 다중주택

여러 가구가 함께 살며 부엌과 화장실을 공유해야 하는 형태의 주택을 말합니다. 흔히 생각하는 고시원이 다중주택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3. 다가구주택

다세대 주택과 헷갈리기 쉬운 다가구주택은 엄밀히 말해 단독주택에 속합니다. 세대별로 부엌과 화장실이 구분되어있어 가구별 생활이 가능합니다. 한 명의 집주인이 있으며 3층 이하의 19세대가 거주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월세를 내고 생활하는 원룸들이 다가구주택에 속합니다.

공동주택

1.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과 비슷하지만, 구분소유가 가능하다는 것이 다세대주택의 특징입니다. 다가구 주택보다 한 층 높은 4층 이하의 건물로 일반적으로 부르는 빌라가 다세대주택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2. 오피스텔

오피스(Office)와 호텔(Hotel)이 혼합된 형태의 주택입니다. 말 그대로 업무와 주거를 겸하기 위한 목적의 주택으로, 사실상 방의 개수가 많은 주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인 가구가 살기에 쾌적한 환경이 장점이지만, 취득세가 높다는 것이 단점도 있습니다.

3. 아파트

땅이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현대 한국에서 부동산을 말할 때 가장 대표적으로 언급하는 것이 바로 아파트입니다. 빌라보다 높은 5층 이상의 건물을 다세대로 나누어 독립생활을 하도록 한 주택입니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I의 뜻과 계산하는 법  (0) 2022.06.25
DSR의 뜻과 계산하는 법  (0) 2022.06.25
LTV의 뜻과 계산하는 법  (0) 2022.06.25
부동산 알못이 알아야할 사이트 TOP5  (0) 2022.05.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