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에버노트 처음 시작하기 <2> 노트 만들기

by 킴앤 2021. 5. 16.
반응형

 에버노트를 처음 사용하는 나 같은 사용자를 위해 에버노트의 초보자용 기초 활용 편에 대해서 정리한다.

 

 

내가 좋아하는 것부터 기록하자

 

 남들이 많이 쓰고 좋다고 해서 나에게도 잘 맞으리란 법은 없다. 처음 접하는 프로그램인만큼, 새로운 것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과 불편감을 줄이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평소에 즐겨 찾는, 좋아하는 분야부터 서서히 기록하기 시작해야 한다. 나의 경우는 축구와 야구를 좋아하는데, 그 날 혹은 그 주에 배정된 경기 일정이나 경기장에 직접 방문한 직관 사진 등부터 기록할 수 있을 것 같다. 대학생이라면 강의 기록이나 과제를, 직장인이라면 회의 기록을 기록하는 등 수집과 기록의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영역에서 시작하면 좋겠다.

 

 

효율 따지지 말고 노트를 마구 만들자.

 

 에버노트와 같은 IT기술을 활용할 때 초보 사용자가 저지르는 가장 흔한 실수는 반드시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어떤 툴이든 간에 전자기기 혹은 프로그램을 활용한 일들은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다 보니 아직 해당 프로그램과 친해지지도 않은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이 알려주는 효율적인 방식들을 따라 한다. 아무리 그 방식이 효율적이고 단순하다고 하더라도, 나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세계이기 때문에 지칠 수밖에 없다. 그러니까 일단 내가 하고 싶은 대로 노트를 마구 만들면서 시작해보자. 에버노트는 무료다. 유료결제를 사용할 정도의 활용도를 가질 때에나 효율성을 따지기 시작해도 늦지 않다.

 

-

 

용어 정리

 

노트 - 에버노트 내에 존재하는 모든 페이지.

노트북 - 말 그대로 노트를 묶어놓은 책. 폴더라고 생각하면 좋겠다. 원하는 노트북끼리 묶을 수 있다.

태그 - 노트에 붙여두는 일종의 인덱스로, 자료가 많이 쌓였을 때 검색해서 찾아가는 기능을 한다.

 

 

 

노트북의 종류

 

1. 동기화 노트북
2. 로컬 노트북
3. 오프라인 노트북

 

1. 동기화 노트북 - 모든 기기에서 접속해서 입력, 수정할 수 있는 노트북. 처음 계정을 생성했을 때 하나가 기본적으로 생성되어있다. 

 

2. 로컬 노트북 - PC에만 저장하는 노트북. 에버노트 계정으로 동기화되지 않는다. 

 

3. 오프라인 노트북 - 모바일에서만 만들 수 있는 노트북. 인터넷 연결 없이도 조회는 할 수 있지만 전체 노트북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오프라인 노트북을 설정해야 한다. 유료 결제 시에만 사용할 수 있다. 

 유료 결제한 뒤 모바일 기기로 스크랩을 해두고 저장하면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열람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유용하다. 

 

 

 

반응형

댓글